블루투스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중 하나로 줄여서 BT, 블투라고도 부릅니다.간략하게 설명하면 블루투스란 선없이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자동차등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10M이내)의 표준을 뜻합니다.
복잡하게 생각할것 없이 유선으로 연결하던 제품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잇게 도와 주는 기술입니다.
블루투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전자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케이블을 연결해야 했지만 블루투스의 등장으로 근거리의 전자기기 데이터 통신이 케이블 없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잇게 되었습니다. 또한 개발이 진행되며 저전력의 소형화가되면서 이어폰, 헤드폰으로 음악을 감상할때 블루투스를 사용해 케이블 연결없이 무선으로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해 졌습니다.
블루투스 기술은 1994년 에릭슨이 최초 개발을 시작하여 1998년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등으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통해 처음 상용화 된 시점되었습니다.
현재 블루투스 SIG 그룹에는 전기통신, 컴퓨터, 네트워크, 가전 등의 분야의 30,000사 이상의 기업들이 멤버에 가입되어 있고 블루투스 SIG는 규격의 개발을 감시, 규격의 인증 프로그램의 관리 및 트레이드마크의 보호를 관장하고 있습니다. 장비 제조사가 블루투스 장비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SIG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을 만족해야 합니다.
블루투스(Bluetooth)이름의 유래

블루투스(Bluetooth)라는 이름은 10세기경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했던 덴마크와 노르웨이 국왕 헤럴드 블루투스(Harold "Bluetooth")의 별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국어로 하면 푸른이빨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앞서 소개해 드렸던 SIG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했던 것 처럼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이 통신장치들을 하나의 무선 기술 규격으로 통일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공식명칭을 블루투스로 정했습니다.
블루투스 로고의 경우도 하랄의 H와 블루투스의 B를 뜻하는 스칸디나비아 룬 문자에서 따온것입니다.
블루투스(Bluetooth)의 원리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 위 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0MHz 이후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서 전파 사용에 대한 허가가 필요없는 개인 무전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고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에 해당 합니다.
블루투스는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에 서로간의 전파 간섭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사용합니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입니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힙니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간에 동기화 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지게됩니다.
만약 Data 통신 시 혼잡이 심한 채널이 있다면 건너뛰어 다른 채널에서 통신합니다.
쉽게 말해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서 빠르게 이동하며 데이터를 조금씩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채널이 바뀌는 패터을 서로 동기화 되어야통신이 가능합니다.
블루투스는 기기간에 동기화가 되어야만 작동하게 되어 있는데 마스터와 슬레이브 구성으로 연결 됩니다. 1대의 Master는 최대 7개까지의 Slave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동기화외에 슬레이브-슬레이브간의 통신은 불가합니다.
블루투스 버전
블루투스는 1.0버전부터 5버전까지 기술발전을 진행했습니다. 버전이 올라갈수록 데이터의 전송 범위가 확대되고 속도도 크게 빨라지게 됐으며 보안성도 우수해졌습니다.
블루투스1.0
1998년 SIG 그룹 결성 2년 이후 최초로 등장한 블루투스 버전으로 주파수 호핑 방법을 채택하여 발전했습니다. 연결을 위한 하드웨어 장치를 사전에 입력해줘야 하는 문제로 현재처럼 두 장치 사이 간 익명연결이 불가능했습니다.
블루투스 1.1
2002년 IEEE 표준으로 승인된 버전으로 기존 1.0과 1.0b의 문제점을 수정한 점이 특징이며 신호 강도지표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1.2
블루투스 1.2는 접속 시간을 줄이고 근거리 주파수 간섭을 개선한 방식 입니다. 2005년 IEEE 표준으로 승인받은 버전으로 전송속도는 큰 차이가 없지만, 오류나 음성, 신호의 품질 손실을 막는 기술이 추가되었습니다. 실제 전송 속도는 1.1과 같은 723 kbps입니다.
블루투스 2.0 + EDR
2004년 EDR(Enhanced Data Rate) 기술 적용으로 버전 1.0에 비해 데이터 속도가 3배 빨라졌습니다. 이론상의 전송속도는 3 Mbps 실사용 시 2.1Mbps 속도로 개선되어 대중화에 성공했습니다. (EDR 미표시 시에는 723.1Kbps 속도)
다중 연결 시나리오의 단순화로 데이터 전송량이 늘면서 전력 소비가 줄어든 효과를 함께 얻은 버전입니다. 아이폰 3G와 3GS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 2.1 + EDR
2007년 채택된 2.1 버전은 장치의 이름이나 서비스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근거리 무선통신 (NFC)에 대응하는 기능이 추가됨으로 NFC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면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3~10배까지 배터리 수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아이폰4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 3.0 + HS
2009년 발표되었으며, 서로 연결된 두 기기가 HS(High Speed)를 지원할 경우 최대 속도 24Mbps로 개선되었습니다.
기기 간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하며, 내장된 전력 관리 기능으로 전력 소모를 크게 줄였습니다.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전송속도가 중요하지 않은 기기들은 2.1버전을 탑재했습니다. HS 기술은 블루투스로 연결된 두 기기 모두 와이파이(802.11)에 연결되어야 했기 때문에 제조사들에 외면 받은 기술이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1, S2 모델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Bluetooth)란 무엇일까요?
블루투스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중 하나로 줄여서 BT, 블투라고도 부릅니다.간략하게 설명하면 블루투스란 선없이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자동차등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10M이내)의 표준을 뜻합니다.


블루투스는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에 서로간의 전파 간섭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사용합니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입니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힙니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간에 동기화 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지게됩니다.
블루투스는 기기간에 동기화가 되어야만 작동하게 되어 있는데 마스터와 슬레이브 구성으로 연결 됩니다. 1대의 Master는 최대 7개까지의 Slave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동기화외에 슬레이브-슬레이브간의 통신은 불가합니다.
복잡하게 생각할것 없이 유선으로 연결하던 제품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잇게 도와 주는 기술입니다.
블루투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전자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케이블을 연결해야 했지만 블루투스의 등장으로 근거리의 전자기기 데이터 통신이 케이블 없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잇게 되었습니다. 또한 개발이 진행되며 저전력의 소형화가되면서 이어폰, 헤드폰으로 음악을 감상할때 블루투스를 사용해 케이블 연결없이 무선으로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해 졌습니다.
블루투스 기술은 1994년 에릭슨이 최초 개발을 시작하여 1998년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등으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통해 처음 상용화 된 시점되었습니다.
현재 블루투스 SIG 그룹에는 전기통신, 컴퓨터, 네트워크, 가전 등의 분야의 30,000사 이상의 기업들이 멤버에 가입되어 있고 블루투스 SIG는 규격의 개발을 감시, 규격의 인증 프로그램의 관리 및 트레이드마크의 보호를 관장하고 있습니다. 장비 제조사가 블루투스 장비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SIG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을 만족해야 합니다.
블루투스(Bluetooth)이름의 유래
블루투스(Bluetooth)라는 이름은 10세기경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했던 덴마크와 노르웨이 국왕 헤럴드 블루투스(Harold "Bluetooth")의 별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국어로 하면 푸른이빨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앞서 소개해 드렸던 SIG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했던 것 처럼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이 통신장치들을 하나의 무선 기술 규격으로 통일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공식명칭을 블루투스로 정했습니다.
블루투스 로고의 경우도 하랄의 H와 블루투스의 B를 뜻하는 스칸디나비아 룬 문자에서 따온것입니다.
블루투스(Bluetooth)의 원리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 위 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0MHz 이후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서 전파 사용에 대한 허가가 필요없는 개인 무전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고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에 해당 합니다.
만약 Data 통신 시 혼잡이 심한 채널이 있다면 건너뛰어 다른 채널에서 통신합니다.
쉽게 말해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서 빠르게 이동하며 데이터를 조금씩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채널이 바뀌는 패터을 서로 동기화 되어야통신이 가능합니다.
블루투스 버전
블루투스는 1.0버전부터 5버전까지 기술발전을 진행했습니다. 버전이 올라갈수록 데이터의 전송 범위가 확대되고 속도도 크게 빨라지게 됐으며 보안성도 우수해졌습니다.
블루투스1.0
1998년 SIG 그룹 결성 2년 이후 최초로 등장한 블루투스 버전으로 주파수 호핑 방법을 채택하여 발전했습니다. 연결을 위한 하드웨어 장치를 사전에 입력해줘야 하는 문제로 현재처럼 두 장치 사이 간 익명연결이 불가능했습니다.
블루투스 1.1
2002년 IEEE 표준으로 승인된 버전으로 기존 1.0과 1.0b의 문제점을 수정한 점이 특징이며 신호 강도지표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1.2
블루투스 1.2는 접속 시간을 줄이고 근거리 주파수 간섭을 개선한 방식 입니다. 2005년 IEEE 표준으로 승인받은 버전으로 전송속도는 큰 차이가 없지만, 오류나 음성, 신호의 품질 손실을 막는 기술이 추가되었습니다. 실제 전송 속도는 1.1과 같은 723 kbps입니다.
블루투스 2.0 + EDR
2004년 EDR(Enhanced Data Rate) 기술 적용으로 버전 1.0에 비해 데이터 속도가 3배 빨라졌습니다. 이론상의 전송속도는 3 Mbps 실사용 시 2.1Mbps 속도로 개선되어 대중화에 성공했습니다. (EDR 미표시 시에는 723.1Kbps 속도)
다중 연결 시나리오의 단순화로 데이터 전송량이 늘면서 전력 소비가 줄어든 효과를 함께 얻은 버전입니다. 아이폰 3G와 3GS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 2.1 + EDR
2007년 채택된 2.1 버전은 장치의 이름이나 서비스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근거리 무선통신 (NFC)에 대응하는 기능이 추가됨으로 NFC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면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3~10배까지 배터리 수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아이폰4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 3.0 + HS
2009년 발표되었으며, 서로 연결된 두 기기가 HS(High Speed)를 지원할 경우 최대 속도 24Mbps로 개선되었습니다.
기기 간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하며, 내장된 전력 관리 기능으로 전력 소모를 크게 줄였습니다.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전송속도가 중요하지 않은 기기들은 2.1버전을 탑재했습니다. HS 기술은 블루투스로 연결된 두 기기 모두 와이파이(802.11)에 연결되어야 했기 때문에 제조사들에 외면 받은 기술이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1, S2 모델에 탑재되었습니다.
블루투스 버젼
블루투스1.0
초기 블루투스는 2.4GHz 주파수를 사용했습니다. 이것은 무선 네트워크(802.11b/g)의 주파수와 동일합니다. 같은 주파수를 공유했으므로 동일 주파수 영역 내에 있는 장치간 충돌이 예상 되었지만 블루투스는 비어 있는 다른 채널을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기에 문제점은 없었습니다. 다만 하드웨어 장치의 주소를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점 지금의 블루투스 처럼 두 장치 사이간 익명의 연결은 불가능한 방식이었습니다.
블루투스 1.1/1.2
블루투스 1.2는 접속 시간을 줄이고 근거리 주파수 간섭을 개선한 방식 입니다. 전송속도 자체는 1.1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송 오류나 음성, 신호의 품질 손실을 막는 기술이 추가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2.0 + EDR
데이터 속도가 이전에 비해서 매우 빨라졌습니다. EDR(Enhanced Data Rate)이란 강화된 데이터 전송을 의미 합니다.
블루투스 2.1 + EDR
장치의 이름이나 서비스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이 추가 되었고, 근거리 무선통신(NFC)에 대응하는 기능도 블루투스 2.1 + EDR에서 추가된 방식 입니다.
블루투스 3.0 + HS
2009년 발표되었으며, 최대 속도 24Mbps로 속도가 업그레이드 되어 있습니다. 기기간의 대용량 파일 및 동영상/사진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외 PC와 모바일 기기와 동기화도 가능 합니다.
블루투스 4.0
2010년에 채택되었고 기존 블루투스에 고속(+HS) 저전력등이 포함된 버젼 입니다. 저전력의 경우 연결을 보다 빠르게 그리고 고속 전송은 와이파이 기반 입니다.
블루투스 4.1
2013년에 발표 되었습니다. 블루투스와 LTE 통신간의 공존성을 높인 방식 입니다.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연결이 끊겼을때 다시 거리가 좁혀지면 자동으로 연결이 가능한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4.2
2014년 하반기에 새롭게 발표 되었습니다. 사물인터넷(loT)에 대한 대응이 좀더 긴밀해 졌습니다. 이유는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파일(IPSP)이 추가되었기 때문 입니다.
블루투스 5.0
2016년 6월에 발표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4.0 출시이후 6년만에 새로운 버젼으로 업그레이드 되어 발표가 되었는데 다른점은 기존의 LE프로토콜의 느린 전송속도에서 2배가량 속도를 증가 시켰고 거리의 경우 기존 약 10M에서 40M로 확장이 되었습니다. 또한 SAM(Slot Availablity Mask)기능을 탑재하여 주변읙 같은 밴드를 사전에 차단하여 간섭을 미리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제품과 스마트 기기들이 많아짐에 따라 제품의 간섭을 줄이기는 기능 힙니다.
블루투스 장점 및 단점
블루투스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남녀 노소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점이 장점이나, 단점으로는 거리의 제약이 있으며, 보완에 취약한점 그리고 음질이 일반 와이파이 방식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