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컴퓨터 케이스 만들기

3D 프린터 레이저 커팅기를 사용해, 

나만의 컴퓨터 데스크탑 케이스를 만들어보자.






데스크탑 케이스 제작 작업 과정


준비물


라즈베리 파이 컴퓨터에 대응하는 케이스 설계도이므로, 라즈베리 파이 & 맞춤 부품들이 필요하다.

또한 통계 디스플레이를 전면에 부착해 컴퓨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케이스이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 라즈베리 파이 4 (Raspberry Pi 4) 
  • 마이크로 SD 카드
  • 라즈베리 파이 4 파워 공급용 PSU
  • 라즈베리 파이 쿨링 팬, 아이스 타워 쿨러
  • I2C OLED 디스플레이
  • 리본 케이블
  • 암 핀 헤더
  • 기계 나사
  • 공예용 칼
  • 2mm 아크릴판
  • 검정 필라멘트





제작 과정


1 케이스의 본체를 디자인한다. 라즈베리 파이와 아이스 타워, OLED 디스플레이 삽입할 

부분과 추후 아크릴 판에 넣을 요소 등을 고려해 디자인한다. 

해당 디자인은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 후 출력해 사용할 수 있다.





2 디자인을 완성 후,  3D 프린터를 사용해 출력한다. OLED 디스플레이드 삽입구 등의 전체적인 마감을 확인한다.

 매끄럽지 못한 부분은 공예용 칼을 사용해 전체적으로 다듬어 준다.






3 라즈베리 파이 & 아이스 타워 조립을 한다. 스탠드 나사를 이용해 케이스와 파이를 고정한 후, 아이스 타워에서 쿨러 팬을 제거한다. 쿨러 팬은 아크릴 판에 부착해 사용한다. 팬이 빠진 아이스 타워에 지지 브래킷을 추가한 후, 방열판 접촉 패드 추가에 주의해 라즈베리 파이에 연결해준다. 


순서대로 라즈베리 파이 조립 > 아이스 타워 & 쿨러 팬 분리 > 아이스 타워 지지 브래킷을 추가 후 조립한다. 


라즈베리 파이, 아이스 타워가 모두 장착된 모습. 






4 OLED 디스플레이를 준비된 자리에 부착한다. 디스플레이에 핀이 납땜 되지 않은 상태라면,

우선 디스플레이 뒷면에 납땜을 해야한다. 디스플레이의 상단 가장자리를 케이스 본체의 삽입구에 넣은 후

3D로 인쇄한 소향 클램프와 소형 나사로 고정한다. 


암 헤더 핀과 리본 케이블을 조립해 4선 리본 케이블을 제작한다. 4선 케이블로 라즈베리 파이와 디스플레이를 연결한다.

라즈베리 파이, 디스플레이에서 연결해야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라즈베리 파이 4의 구조이다. 아래 명시된 부분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된다.

  • VCC-Pin 3.3V 전원
  • GND-Pin14 접지
  • SCL-Pin3 SCL
  • SDA-Pin2 SDA





5 양 면이 뚫린 디자인의 케이스이기 때문에, 양 면의 아크릴 부속품이 필요하다. 한쪽 아크릴 판에는 쿨러 팬을 장착할 수 있는 팬 삽입구와 나사 삽입구를 추가해 디자인하자. 해당 디자인은 첨부파일을 받은 후 사용 가능하다.





6 준비된 도안을 바탕으로 아크릴을 자른다.

2mm 투명 아크릴판을 사용했지만, 3mm 그리고 불투명~ 유색 아크릴도 사용 가능하다.





7 커팅이 완료된 아크릴 판에 쿨러 팬을 부착한다. 조립이 완료된 아크릴 판과 팬의 전선을 내부 본체에 연결 후, 양 면의 아크릴 판을 모두 덮은 후 나사를 조여 고정한다. 아크릴판과 본체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Python 스크립트로 케이스의 OLED 디스플레이를 구동시켜야 한다.

라즈베리 파이는 초소형, 초저가 컴퓨터인 만큼 수동 스크립트 실행 등을 통해 컴퓨터의 마우스 속도 개선 등, 여러 프로그램을 직접 구동하며 변경할 수 있다. 인터넷에 다양한 다목적의 스크립트 예제들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걸 다운받아 사용해도 된다. 


라즈베리 파이를 부팅하고 OLED 디스플레이 Python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첨부 파일에 해당 스크립트를 다운받아 적용하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Adafruit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도 설치 후 실행한다. 

1. 라이브러리 > 디렉토리  

cd Adafruit_Python_SSD1306

2. Python 3 용 라이브러리 설치

sudo python3 setup.py install

3. Adafruit 에서 stats.py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stats.py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로 변경한다.

cd examples

 4.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python3 stats.py

5. 스크립트 자동 실행 명령 : 스크립트 디렉토리> crontab > 스크립트 실행 문구 추가

@reboot python3 /home/pi/stats.py &

6. 위의 사항 저장 후 반영 : / home / pi 디렉토리 변경






8. 완성!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확일할 수 있다.

전면부의 OLED 디스플레이에서 컴퓨터의 사양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P 주소, 디스크 등의 상태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케이스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https://www.instructables.com/DIY-Raspberry-Pi-Desktop-Case-With-Stats-Display/

https://www.the-diy-life.com/diy-raspberry-pi-4-desktop-case-with-oled-stats-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