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08
더 좋은 청강메이커스페이스를 위하여 내부 인테리어디자인을 기획해보기로 했습니다!
1.공간 기획 구상하기
청강메이커스페이스는 2층과 3층으로 이루어져 기계를 활용하는 여러 공간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먼저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2층의 워킹 스페이스(아래 사진의 빨간 선 안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차츰차츰 그 범위를 넓혀나가기로 했습니다.
2.자료찾기-컨셉 선정하기
우선 다른 메이커스페이스 인테리어에 관련하여 컨셉 자료를 찾고 괜찮은 컨셉의 공간디자인을 발표하여 우리 메이커스페이스는 어떻게 꾸며나가는게 좋을지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청강메이커스스페이스는 깔끔한 우드톤+톡톡 튀는 색상의 가구로 포인트를 주어 밝은 느낌의 메이커 공간을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더불어 '토이'적인 가구를 만들고 배치함으로서 친근하고 재밌는 분위기를 조성하기로 하였습니다.
아래는 그와 관련된 자료입니다.
출처 : https://abduzeedo.com/node/85368
출처: 순서대로 상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하단 우측
http://www.home-designing.com/2016/06/dream-big-with-these-imaginative-kids-bedrooms
https://www.pinterest.co.kr/pin/384283780705217509/
https://www.pinterest.pt/pin/555350197801966699/
https://archello.com/story/41371/attachments/photos-videos/3
3. 문제점과 개선방안 생각하기
그리고 더 구체적인 기획을 위해
1.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것.
2. 영역이 구체적으로 나누어져 있을 것.
3. 좀 더 효율적인 동선을 만들 것.
이라는 기준을 두고,
그에 따라
배치를 바꾸고
색상을 다르게 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기존의 문제점입니다.
1. 한쪽 벽에 레이저 컷팅기, 3디 프린터기, 제본기, 사물함이 배치되어 조금 복잡한 모습이다.
2. 목공소 쪽 벽의 활용도가 없다.
3. 위치적 장점에 비해 기둥의 활용도가 없다.
4. 근로선생님의 자리가 뚜렷하지 않고 뒤쪽 사물함으로 비교적 정리되어 있지 않은 모습이다.
5. 가운데 탁자들이 하나 하나 다 떨어져 있어 공간 활용도가 낮다.
6. 컬러 배치가 다소 칙칙하다. 기둥은 적갈색에 출입구 문은 회색이고 각각의 공간을 넘나드는 문은 고동색이다.
7. 벽 활용도가 없다.
위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안을 생각해냈습니다.
1. 사용용도에 맞는 영역을 분배한다.
예) 3디 프린팅이면 3디 프린팅 존, 컷팅기는 컷팅존 등 영역을 나누어 동선이 꼬이지 않게 한다.
2. 목공소 벽 쪽에 컷팅기를 두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한다.
3. 기둥을 아예 하나의 존으로 만들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한다.
기둥의 특징 : 중앙에 위치함. 내부출입구에서 봤을 때 기둥밖에 안보임.
이라는 특징을 고려하여 출입구에서 봤을 때 메이커스스페이스가 활동적으로 보이게끔 게시판이나 메이커 존으로 탈바꿈시킨다.
3. 따로 떨어져있는 탁자들을 2개씩 이어붙여 의자도 더 많이 배치가 가능하고 공간도 깔끔하고 넓어보이게 한다. 이어붙인 탁자의 가운데에는 자투리 재료들을 배치하여 메이커스페이스다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4. 기존 칙칙한 문틀 색상과 가구를 유니크한 색상으로 색칠하여 생기를 준다.
5. 우드 타공판을 벽면에 붙여 벽의 활용도를 높인다.
4. 인테리어 도면짜기
아래는 이에 따라 1차로 구상해낸 인테리어 기획안과 기둥 활용안입니다.
*도면은 top view를 기준으로 그렸고 그 도면 기준으로 방향에 걸맞게 side도면을 그렸습니다.
5. 피드백 받기
이후 담당 교수님께 도면과 개선안을 설명드렸습니다.
교수님 피드백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기계 재배치는 어렵다. 환기구나 전선 배열을 고려하여 기계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기존 배치를 유지하되 개선해나가는 인테리어였으면 좋겠다.
2. 아예 전체적으로 바꾸는 건 처음 만들때부터 했어야하는데 지금은 그게 어렵다. 전체적인 것보다 디테일을 바꿔보며 개선해나가자.
3. 전제적인 것을 바꾸긴 힘들지만 기둥을 활용하는 방안 같이 디테일한 아이디어는 좋은 것 같다.
4. 색상으로 활기를 주는 것은 괜찮은 방안 같다. 기둥은 아니지만 문틀 정도는 직접 채색이 가능하다.
5. 탁자를 붙이는 것은 좋은 방안 같다.
의견을 나누고 회의하여 우선 근로선생님이 계시고 사물함이 있는 벽면쪽부터 점차 개선해나가기로 했습니다. 기계와 가구 재배치가 불가능하여 조금 아쉽긴 하지만 의견을 구체적으로 피드백 받아 뿌듯한 점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부분까지 고려하여 기획을 해야겠습니다.
더 좋은 청강메이커스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는 계속될 것입니다.
앞으로 조금씩, 끊임없이 변화해나갈 메이커스페이스의 모습을 많이 기대해 주세요! :D
20200108
더 좋은 청강메이커스페이스를 위하여 내부 인테리어디자인을 기획해보기로 했습니다!
1.공간 기획 구상하기
청강메이커스페이스는 2층과 3층으로 이루어져 기계를 활용하는 여러 공간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먼저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2층의 워킹 스페이스(아래 사진의 빨간 선 안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차츰차츰 그 범위를 넓혀나가기로 했습니다.
2.자료찾기-컨셉 선정하기
우선 다른 메이커스페이스 인테리어에 관련하여 컨셉 자료를 찾고 괜찮은 컨셉의 공간디자인을 발표하여 우리 메이커스페이스는 어떻게 꾸며나가는게 좋을지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청강메이커스스페이스는 깔끔한 우드톤+톡톡 튀는 색상의 가구로 포인트를 주어 밝은 느낌의 메이커 공간을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더불어 '토이'적인 가구를 만들고 배치함으로서 친근하고 재밌는 분위기를 조성하기로 하였습니다.
아래는 그와 관련된 자료입니다.
출처 : https://abduzeedo.com/node/85368
출처: 순서대로 상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하단 우측
http://www.home-designing.com/2016/06/dream-big-with-these-imaginative-kids-bedrooms
https://www.pinterest.co.kr/pin/384283780705217509/
https://www.pinterest.pt/pin/555350197801966699/
https://archello.com/story/41371/attachments/photos-videos/3
3. 문제점과 개선방안 생각하기
그리고 더 구체적인 기획을 위해
1.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것.
2. 영역이 구체적으로 나누어져 있을 것.
3. 좀 더 효율적인 동선을 만들 것.
이라는 기준을 두고,
그에 따라
배치를 바꾸고
색상을 다르게 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기존의 문제점입니다.
1. 한쪽 벽에 레이저 컷팅기, 3디 프린터기, 제본기, 사물함이 배치되어 조금 복잡한 모습이다.
2. 목공소 쪽 벽의 활용도가 없다.
3. 위치적 장점에 비해 기둥의 활용도가 없다.
4. 근로선생님의 자리가 뚜렷하지 않고 뒤쪽 사물함으로 비교적 정리되어 있지 않은 모습이다.
5. 가운데 탁자들이 하나 하나 다 떨어져 있어 공간 활용도가 낮다.
6. 컬러 배치가 다소 칙칙하다. 기둥은 적갈색에 출입구 문은 회색이고 각각의 공간을 넘나드는 문은 고동색이다.
7. 벽 활용도가 없다.
위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안을 생각해냈습니다.
1. 사용용도에 맞는 영역을 분배한다.
예) 3디 프린팅이면 3디 프린팅 존, 컷팅기는 컷팅존 등 영역을 나누어 동선이 꼬이지 않게 한다.
2. 목공소 벽 쪽에 컷팅기를 두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한다.
3. 기둥을 아예 하나의 존으로 만들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한다.
기둥의 특징 : 중앙에 위치함. 내부출입구에서 봤을 때 기둥밖에 안보임.
이라는 특징을 고려하여 출입구에서 봤을 때 메이커스스페이스가 활동적으로 보이게끔 게시판이나 메이커 존으로 탈바꿈시킨다.
3. 따로 떨어져있는 탁자들을 2개씩 이어붙여 의자도 더 많이 배치가 가능하고 공간도 깔끔하고 넓어보이게 한다. 이어붙인 탁자의 가운데에는 자투리 재료들을 배치하여 메이커스페이스다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4. 기존 칙칙한 문틀 색상과 가구를 유니크한 색상으로 색칠하여 생기를 준다.
5. 우드 타공판을 벽면에 붙여 벽의 활용도를 높인다.
4. 인테리어 도면짜기
아래는 이에 따라 1차로 구상해낸 인테리어 기획안과 기둥 활용안입니다.
*도면은 top view를 기준으로 그렸고 그 도면 기준으로 방향에 걸맞게 side도면을 그렸습니다.
5. 피드백 받기
이후 담당 교수님께 도면과 개선안을 설명드렸습니다.
교수님 피드백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기계 재배치는 어렵다. 환기구나 전선 배열을 고려하여 기계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기존 배치를 유지하되 개선해나가는 인테리어였으면 좋겠다.
2. 아예 전체적으로 바꾸는 건 처음 만들때부터 했어야하는데 지금은 그게 어렵다. 전체적인 것보다 디테일을 바꿔보며 개선해나가자.
3. 전제적인 것을 바꾸긴 힘들지만 기둥을 활용하는 방안 같이 디테일한 아이디어는 좋은 것 같다.
4. 색상으로 활기를 주는 것은 괜찮은 방안 같다. 기둥은 아니지만 문틀 정도는 직접 채색이 가능하다.
5. 탁자를 붙이는 것은 좋은 방안 같다.
의견을 나누고 회의하여 우선 근로선생님이 계시고 사물함이 있는 벽면쪽부터 점차 개선해나가기로 했습니다. 기계와 가구 재배치가 불가능하여 조금 아쉽긴 하지만 의견을 구체적으로 피드백 받아 뿌듯한 점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부분까지 고려하여 기획을 해야겠습니다.
더 좋은 청강메이커스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는 계속될 것입니다.
앞으로 조금씩, 끊임없이 변화해나갈 메이커스페이스의 모습을 많이 기대해 주세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