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CK MAKERS TEAM


청강 메이커스팀은 다채로운 지적, 사회적 경험과 인간적 교류를 통해 문제의 공감부터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협업을 통해 구성해 가는 메이커스 공동체입니다. 팀 구성원은 물론 타 메이커스팀의 구성원들과 자유롭게 협업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과정을 청강메이커스랩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관심있는 메이커스팀을 찾아 배너를 클릭하면 각 팀 별 활동내용을 볼 수 있으며 팀 대표 학생의 메일을 통해 교류할 수 있습니다.

[방나경] 바리데기 무드등 만들기_3번째 일지:1차 제작 (8월 3,4주차)

방나경
2020-08-31
조회수 1305

바리데기 무드등 만들기_2번째 일지:1차 제작 과 이어집니다.


3. 파츠 조립

사이즈를 체크하고, 다듬어 줍니다.

사진의 파란 동그라미를 보면, 2. 파츠 제작에서 언급한 듯, 나무의 휘어짐 때문에 레이저 컷팅으로 작업하여도 조금씩 크기에 차이가 생겼습니다. 부드러운 공예용 바스우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레이저 컷팅기나, 다른 장비 필요없이 커터칼로 다시 다듬어 주었습니다.

또한 사이즈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미처 사이즈를 틀렸거나, 타공을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시험 제작이고 바스우드가 부드러워, 송곳과 커터칼로 직접 타공하였습니다. 사포를 말아 사용하여도 좋습니다.

(당시에는 한지를 붙인 후에 발견하여 사진에 모두 한지가 붙어있습니다. 커터칼로 다듬는 과정에서 먼지나, 자국이 생길 수 있으니 레이저 컷팅후 바로 사이즈 체크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옆면 파츠의 구멍부분을 한지를 붙여 막아줍니다.

사진에 보이는 파랑 동그라미가 2. 파츠 제작에서 언급한, 잿가루가 모두 닦아지지 않거나, 다 털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잿가루가 묻지 않은 방향이 바깥으로 가게끔 잿가루가 묻은 면에 한지를 붙여줍니다. 


ㄴ자로 옆면의 1,2면, 3,4면을 붙여줍니다. 등 안에 전구를 설치해야함으로 손이 오가기 편하게 ㄴ자로 작업하였습니다.

조립하는 와중 2.파츠제작에서 언급한 듯, 습한 날씨에는 나무가 휘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접착면이 좁기때문에 조금의 휘어짐도 조립에 어려움이 됩니다. 만약 휘었다면, 무거운 물체로 눌러 하루정도 펴주는 시간을 가져주세요.


4. 전구 설치

전구를 소켓에 연결하는 것은 쉽게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습니다. 등의 중간 가림막 바깥으로 전구가 나올 수 있도록 소켓을 가림막에 넣어주세요. 


전구, 건전지, 스위치의 연결은 위와 같습니다.

소켓의 흰 선을 그림에서는 파랑색으로 그려뒀습니다. 토클 스위치의 경우, 가운데 쇠에 꼭 전선이 감겨야합니다.

위의 연결 그림 대로, 가림막을 통과한 전구(소켓), 스위치, 건전지를 연결했습니다.

설치가 끝난, 가림막과 전구, 건전지, 토클 스위치의 위치는 위와 같습니다. 순간접착제로 고정하였습니다.


토클 스위치와, 나머지 ㄴ자 옆면의 타공한 위치를 맞추어 마저 조립하고, 토클 스위치를 고정합니다.


5. 완성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