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즈 공공도서관(Queens Public Library)
http://www.queenslibrary.org
89-11 Merrick Boulevard Jamaica, NY 11432
* COVID-19로 인해 2020년 3월 16일부터 임시 패쇄
뉴욕 퀸즈 공공도서관의 63개 분관은 다양한 지역 커뮤니티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프로그램
① 코딩(Cording)
롱아일랜드시티 분관(Long Island City Library)은 스크래치(Scratch)를 이용해 피아노 연주 프로그램을 직접 만드는 <Floor the Piano>, <Build on Your Floor Piano>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자회로 장치를 이용해 이용자가 직접 실험하고 창작하는 프로그램 <Makey Makey(DIY electronics)>,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특수 제작 티셔츠를 입고 인체의 장기를 입체적으로 학습/체험할 수 있는 <AR Program> 등 다양한 코딩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 스크래치(Scratch): 저연령층 및 초보자에게 그래픽 환경을 통해 컴퓨터 코딩에 관한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
② 스팀(STEAM) 교육
퀸즈 중앙도서관 건물 바로 옆에 위치한 퀸즈 어린이도서관디스커버리센터(Children Library Discovery Center)는 3~12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과학 분야에 포커스를 맞춘 과학 중심 어린이 도서관이다. 매주 토요일 어린이를 대상으로 직접 보고, 배우고, 실험 실습을 진행하는 과학 프로그램 <Saturday Science Lab>을 운영하고 있다. <Saturday Science Lab>은 사전등록 없이 참여가 가능하며, 가족 참관 또한 가능하다. 과학분야의 활동 경력을 지닌 전문가를 직원으로 채용해 디스커버리센터의 전시 스테이션 운영 및 과학 프로그램 기획/운영을 운임하게 하고, 실제 프로그램 진행은 다양한 분야의 전공 배경을 가진 대학생 <디스커버리팀>이 진행한다.
참가 어린이들의 연령에 따라 2~3개 그룹을 나눠 수업 내용에 따라 마련된 2~3개 코너를 그룹별로 이동하는 것으로 수업을 약 1시간 30분 동안 진행한다. 디스커버리 팀원들은 대상 그룹에 따라 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해 설명하고, 어린이들이 이해하고 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참가한 어린이들의 지속적인 참가 유도 및 높은 학습 효과를 위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학습할 수 있는 워크시트를 나누어주고 다음 운영시간에 제출하는 어린이에게 소정의 선물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③ 크래프트(Craft)
글렌오크도서관(Library at Glen Oaks)는 참가자가 직접 설명서를 보고 다양한 크래프트 활동을 할 수 있는 메이커 먼데이(Maker Monday)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필요한 재료는 도서관에서 제공한다.
퀸즈도서관 분관 중 가장 규모가 큰 플러싱도서관(Queens Library at Flushing)에서는 다양한 최신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참가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어보는 <Tween Maker Lab>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 달에 한 가지 주제를 정해 매월 월요일 오후 4시에서 5시 30분까지(매달 4~5회) 진행되며, 정해진 주제에 대한 다양한 창작활동을 위해 태블릿, 로보틱스, 전자회로, 코딩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④ STEM(Build a Sustainable City)
매주 금요일 오후 4시에 페이즐리 도서관(Paisley Library)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미래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친환경 건물을 만드는 활동이다. 총 3회에 걸쳐 운영되며, 중앙도서관에서 파견되는 외부강사가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종이박스, 테이프, 끈, 단추,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친환경 건물을 만들고, 강사와 참가자들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과 조언을 주고받으며 결과물을 완성한다. 필요한 모든 재료는 도서관에서 제공한다.
⑤ 구글 CS 시리즈(Google CS Series)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컴퓨터 사이언스/코딩 교육 운영자, 사용자용 온라인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해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활용하는 방법까지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
(* CS: Computer Science.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
다양한 메이커 프로그램들은 중앙도서관 프로그램 및 서비스(Program&Service Department)의 어린이서비스 담당 코디네이터(Children PG Coordinator)와 청소년서비스 담당 코디네이터(Teen Service Coordinator)가 직접 운영하거나 중앙도서관에서 파견된 외부강사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담당 코디네이터(Digital Literacy Coordinator)가 분관의 이용자 교육, 직원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지원 등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을 주고 있다.
(*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디지털 문해력. 디지털 도구와 기술의 활용,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퀸즈 공공도서관에서는 분관의 스팀 및 메이커 프로그램 운영자들을 위해 컴퓨터 사이언스 교육의 필요성과 코딩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유용한 각종 온라인 튜토리얼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에 참가한 운영자는 대표적인 코딩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 <Hour of Code>를 통해 코딩을 배우고 직접 실습하는 과정을 통해 생소한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해당 교육이 왜 중요한지, 도서관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게 된다.
출처
1. https://www.training.go.kr/htmi/Report/TD0392TR0221016/201903186kGS1dxF.pdf?saveas=[e3]IT5P_A1Hs3amwt58LJDyqBhoEHIxJEv9CQbkjbVY0p0WEPwntgtO9SR2qVODJDdGC00dsq2SOkuM2Htx0TCimajt2EqPWwRu2_FyXJwbqkILe5l1anNrT0rbHftznKiTSevjYB
2. https://www.queenslibrary.org/
3. https://dadoc.or.kr/2539
4. https://ko.wikipedia.org/wiki/컴퓨터_과학
퀸즈 공공도서관(Queens Public Library)
http://www.queenslibrary.org
89-11 Merrick Boulevard Jamaica, NY 11432
* COVID-19로 인해 2020년 3월 16일부터 임시 패쇄
뉴욕 퀸즈 공공도서관의 63개 분관은 다양한 지역 커뮤니티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프로그램
① 코딩(Cording)
롱아일랜드시티 분관(Long Island City Library)은 스크래치(Scratch)를 이용해 피아노 연주 프로그램을 직접 만드는 <Floor the Piano>, <Build on Your Floor Piano>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자회로 장치를 이용해 이용자가 직접 실험하고 창작하는 프로그램 <Makey Makey(DIY electronics)>,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특수 제작 티셔츠를 입고 인체의 장기를 입체적으로 학습/체험할 수 있는 <AR Program> 등 다양한 코딩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 스크래치(Scratch): 저연령층 및 초보자에게 그래픽 환경을 통해 컴퓨터 코딩에 관한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
② 스팀(STEAM) 교육
퀸즈 중앙도서관 건물 바로 옆에 위치한 퀸즈 어린이도서관디스커버리센터(Children Library Discovery Center)는 3~12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과학 분야에 포커스를 맞춘 과학 중심 어린이 도서관이다. 매주 토요일 어린이를 대상으로 직접 보고, 배우고, 실험 실습을 진행하는 과학 프로그램 <Saturday Science Lab>을 운영하고 있다. <Saturday Science Lab>은 사전등록 없이 참여가 가능하며, 가족 참관 또한 가능하다. 과학분야의 활동 경력을 지닌 전문가를 직원으로 채용해 디스커버리센터의 전시 스테이션 운영 및 과학 프로그램 기획/운영을 운임하게 하고, 실제 프로그램 진행은 다양한 분야의 전공 배경을 가진 대학생 <디스커버리팀>이 진행한다.
참가 어린이들의 연령에 따라 2~3개 그룹을 나눠 수업 내용에 따라 마련된 2~3개 코너를 그룹별로 이동하는 것으로 수업을 약 1시간 30분 동안 진행한다. 디스커버리 팀원들은 대상 그룹에 따라 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해 설명하고, 어린이들이 이해하고 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참가한 어린이들의 지속적인 참가 유도 및 높은 학습 효과를 위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학습할 수 있는 워크시트를 나누어주고 다음 운영시간에 제출하는 어린이에게 소정의 선물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③ 크래프트(Craft)
글렌오크도서관(Library at Glen Oaks)는 참가자가 직접 설명서를 보고 다양한 크래프트 활동을 할 수 있는 메이커 먼데이(Maker Monday)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필요한 재료는 도서관에서 제공한다.
퀸즈도서관 분관 중 가장 규모가 큰 플러싱도서관(Queens Library at Flushing)에서는 다양한 최신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참가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어보는 <Tween Maker Lab>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 달에 한 가지 주제를 정해 매월 월요일 오후 4시에서 5시 30분까지(매달 4~5회) 진행되며, 정해진 주제에 대한 다양한 창작활동을 위해 태블릿, 로보틱스, 전자회로, 코딩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④ STEM(Build a Sustainable City)
매주 금요일 오후 4시에 페이즐리 도서관(Paisley Library)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미래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친환경 건물을 만드는 활동이다. 총 3회에 걸쳐 운영되며, 중앙도서관에서 파견되는 외부강사가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종이박스, 테이프, 끈, 단추,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친환경 건물을 만들고, 강사와 참가자들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과 조언을 주고받으며 결과물을 완성한다. 필요한 모든 재료는 도서관에서 제공한다.
⑤ 구글 CS 시리즈(Google CS Series)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컴퓨터 사이언스/코딩 교육 운영자, 사용자용 온라인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해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활용하는 방법까지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
(* CS: Computer Science.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
다양한 메이커 프로그램들은 중앙도서관 프로그램 및 서비스(Program&Service Department)의 어린이서비스 담당 코디네이터(Children PG Coordinator)와 청소년서비스 담당 코디네이터(Teen Service Coordinator)가 직접 운영하거나 중앙도서관에서 파견된 외부강사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담당 코디네이터(Digital Literacy Coordinator)가 분관의 이용자 교육, 직원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지원 등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을 주고 있다.
(*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디지털 문해력. 디지털 도구와 기술의 활용,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퀸즈 공공도서관에서는 분관의 스팀 및 메이커 프로그램 운영자들을 위해 컴퓨터 사이언스 교육의 필요성과 코딩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유용한 각종 온라인 튜토리얼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에 참가한 운영자는 대표적인 코딩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 <Hour of Code>를 통해 코딩을 배우고 직접 실습하는 과정을 통해 생소한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해당 교육이 왜 중요한지, 도서관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게 된다.
출처
1. https://www.training.go.kr/htmi/Report/TD0392TR0221016/201903186kGS1dxF.pdf?saveas=[e3]IT5P_A1Hs3amwt58LJDyqBhoEHIxJEv9CQbkjbVY0p0WEPwntgtO9SR2qVODJDdGC00dsq2SOkuM2Htx0TCimajt2EqPWwRu2_FyXJwbqkILe5l1anNrT0rbHftznKiTSevjYB
2. https://www.queenslibrary.org/
3. https://dadoc.or.kr/2539
4. https://ko.wikipedia.org/wiki/컴퓨터_과학